![]() |
김치를 '파오차이'로 표기한 항저우 아시안게임 미디어 빌리지 내 식당 / 사진=서경덕 교수 SNS 캡처 |
서 교수는 7일 자신의 소셜미디어에 "중국은 세계적인 스포츠 행사를 개최할 때마다 한국 문화를 훔치려는 시도가 엿보여 늘 논란이 되어 왔다"는 내용의 글을 게재했다.
글에 따르면 중국은 개최국이 되었을 때 한국 문화를 자국 문화인 양 대외적으로 홍보를 해왔다.
그는 "지난 항저우 아시안게임에서 취재진이 이용하는 메인 미디어센터와 미디어 빌리지의 식당에서 김치를 '파오차이(泡菜)'로 표기해 문제가 됐다"며 "2022 베이징 동계올림픽 개막식에서는 조선족 여성이 한복을 입고 등장했고, 홍보 영상에서도 한복을 입은 무용수들이 춤을 추고 상모를 돌리는 장면이 나와 논란이 됐다"고 지적했다.
서 교수는 "특히 베이징시 광전총국에서 제작을 지원한 쇼트트랙 영화 '날아라, 빙판 위의 빛'에서는 한국 선수들을 '반칙왕'으로 묘사해 큰 반발을 불러일으켰다"고 설명했다.
이어 "이번 대회에서도 중국이 어떤 일을 벌일지 모르기에 예의주시해야만 한다. 한국 선수단 선전을 위해 열띤 응원도 중요하지만, 문화와 역사를 왜곡하는 현장을 발견하게 되면 꼭 제보해달라"고 당부하며 "잘못된 부분은 반드시 바로잡겠다"고 강조했다.
[스포츠투데이 신서영 인턴기자 sports@stoo.com]
<가장 가까이 만나는, 가장 FunFun 한 뉴스 ⓒ 스포츠투데이>