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거금대고 아래 금진항에서 찍은 거금대교 야경. 거금대교는 전남 고흥군 금산면 대흥리와 도양읍 소록리를 연결하는 교량이다. |
한때 소록도는 가까우면서도 먼 섬이었다. 일제 시대 강제 수용됐던 한센병 환자들이 모여있어 환자의 가족들을 제외한 일반인들은 웬만해선 얼씬조차 하지 않던 곳이었다. 지금도 국립소록도병원에는 700여 명의 한센병 환자들과 의료진, 자원봉사자들이 살아가고 있다.
그러나 이제는 달라졌다. 소록대교가 개통되면서 뭍과 한 몸이 됐고, 국내 최초의 우주센터가 있는 나로도와 더불어 고흥을 상징하는 여행 명소로 우뚝 섰다. 아픔과 한으로 가득했던 예전의 분위기는 찾아보기 어렵다. 대신 화사한 봄 햇살과 남해 특유의 잔잔한 파도가 우리를 기다리고 있다.
바로 4월의 소록도다.
![]() |
국립소록도병원 중앙공원 입구. 공원 초입으로 차량통행이 금지된다. |
![]() |
다미안 공적비. 1966년 4월 15일부터 1971년 4월 15일까지 국립소록도병원에서 한센병을 물리치는데 공을 세운 벨기에 다미안 재단의 공적을 기린 공적비다. |
![]() |
소록도 구라탑. 미카엘 대천사가 한센균을 박멸하는 모습을 형상화했다. 1963년 건립됐다 |
![]() |
한하운 시비. 한센병을 앓았던 시인 한하운의 ‘보리피리’가 새겨져 있다. |
소록도 나들이, 이 정도는 알고 가세요
▲제주도와 날씨가 비슷하다. 섬 이름과 달리 원래는 사슴이 없었는데 1996년 2마리를 방사한 게 화근이었다. 번식에 성공한 사슴이 모두 400여 마리로 늘어나 작물 재배는 엄두도 못 낸다고 한다.
▲연 30여 만명의 관광객이 소록도를 찾는다. 단, 환자들이 거주하는 마을은 들어가지 않는 편이다. 섬 전체는 금연 구역. 그래도 어디 숨어서 피우는 사람이 한 두 명씩 꼭 있다고 한다. 소록도에서 만큼은 ‘1박2일’의 출연진처럼 금연에 도전해 보시길.
▲주민들 가운데는 가족과 헤어진 상처를 안고 사는 사람들이 많다. 그래서인지 섬 전체적으로 종교적 성향이 강한 편. 작은 섬 크기에 비해 법당과 성당, 교회가 많다. 한센병 환자의 아픔을 담아 낸 한하운 시인의 시 ‘보리피리’가 새겨진 비석은 그들의 고단했던 지난 세월을 잘 설명해준다.
▲녹동항에서 들어가는 방법은 크게 두 가지다. 배를 타고 10분쯤 가면 선착장에 도착한다. 차량을 이용하면 소록대교를 건너 제2주차장에 차를 세워놓은 뒤 천천히 걸어들어가면 된다. 일몰 후에는 출입이 금지되니 명심하시길.
![]() |
국립소록도병원 중앙공원. 1934년 산책지를 대유원지로 만들어 1936년 12월 1일 준공됐다. |
![]() |
수탄장. 국립소록도병원으로 가는 방향 나무 사이길로 직원지대와 병사지대로 나눠져 1950~1970년까지 철조망이 쳐져 있었다. |
![]() |
소록도 벽화길 |
![]() |
소록대교에서 바라본 소록도 |
![]() |
구 소록도갱생원 감금실 |
![]() |
소록도에 핀 앵두나무꽃 |
송재원 기자 sunny@stoo.com
<가장 가까이 만나는 FunFun 한 뉴스 ⓒ 스포츠투데이>
<가장 가까이 만나는, 가장 FunFun 한 뉴스 ⓒ 스포츠투데이>